[Reference] 네이티브 앱과 크로스 플랫폼 앱의 차이
모바일 앱 종류
1. Native App - 스마트폰의 카메라나 GPS, 블루투스 등 기기 내 장치들을 세밀히 다루거나, 영상 편집 앱과 같이 성능을 최대한 사용해야 하는 앱
예시 : 카카오톡 , 슬랙 , 배달의 민족 , 네이버 지도 , Google Map , SNOW , 게임 앱 등
장점 :
최적화 된 성능
- 네이티브 앱은 플랫폼 사에서 제공한 SDK를 직접 사용하기에 해당 플랫폼에 최적화되어 있으며, 높은 성능을 제공함. 그래픽 처리, 애니메이션 및 하드웨어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
최신 기능 지원
- SDK는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기능 및 디자인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제공
단점 :
플랫폼마다 별도의 개발을 해야 하므로 개발 및 유지 비용이 많이 들고 두가지의 소스 코드를 관리 해야하므로 개발 시간이 많이 듬
2. Cross-Platform App - 하나의 개발 언어로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앱
예시 : 페이스북 , 인스타그램 , 우버 이츠 , 직방
장점
- 비용 절감 및 시간 단축 - 하나의 소스 코드로 네이티브 앱을 각 플랫폼마다 별도로 개발하는 것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임
- 앱 업데이트도 매번 심사를 받지 않아 유지보수가 간편함
단점
- 네이티브 앱보다는 동적인 요소의 구현이 어려움
- 최신 네이티브 기능 미지원 : 네이티브 앱에서는 최신 기능 지원이 바로 가능하지만 Cross-Platform App은 업데이트 되어도 최신 SDK를 사용할 수 없음 (최신 Google Maps SDK를 지원 받지 못하여 크로스 플랫폼 앱들은 구 버전의 Google Maps SDK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함)